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631)
바이든, BTS에 "증오는 말해야 숨는다"며 사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방탄소년단(BTS)이 31일 미국 백악관에서 만났다. 바이든 대통령(이하 직함 생략)은 미국 '아시아계, 하와이 원주민, 태평양 제도 주민 유산의 달(AANHPI)'의 마지막날을 맞아 BTS를 초청해 아시아계 증오 범죄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동은 비공개로 진행됐으나 이후 트위터와 유튜브 등을 통해 영상이 공개됐다. 바이든은 BTS에게 "백악관에 온 걸 환영한다. 어서와요 친구들"이라며 반겼다. 이어 바이든은 "이번 달은 미국에 중요한 달이다. 많은 아시아계 친구들이 차별을 당하고 있다"며 말을 꺼냈다. 그는 "좋은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말할 때 증오는 숨게 된다"며 "그래서 당신들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BTS의 RM은 "우리는 '코로나19 증오범죄법'에 서명한 것과 같은 ..
백악관 브리핑룸 인산인해…BTS "아시아계 증오범죄 근절" 방탄소년단(BTS)이 미국 백악관을 찾았다. 이들은 미국에서 '아시아계, 하와이 원주민, 태평양 제도 주민 유산의 달'(AANHPI)의 마지막 날인 3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과 아시아계 혐오 범죄와 차별 근절을 논의하기 위해 백악관을 찾았다. BTS는 바이든 대통령을 만나기 전 백악관 브리핑룸을 찾아 입장을 밝혔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과 함께 브리핑룸에 들어서자 브리핑룸을 가득 채운 기자들은 휴대전화로 연신 사진을 찍는 등 평소와 다른 분위기가 연출됐다. 이날 브리핑은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 됐다. 장피에르 대변인은 "그래미상 후보에 오른 국제적 아이콘이자 청소년에게 존경과 긍정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고 이들을 소개했다. 리더 알엠(RM)은 영어로 “아시아계에 대한 혐오 범죄와 아시아인..
'낙태 반대'한다는 '생명 옹호파'들, 사람 죽이는 자동소총은 찬성? 미국, 총기규제법 거북이 걸음 vs. 캐나다, 권총거래 전면금지법 추진 "제발 뭐라도 해라!(Do something!)" 지난 주말 학교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해 19명의 초등학생과 2명의 교사가 사망한 미국 텍사스주 유밸디 롭 초등학교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찾았을 때 그가 들은 얘기다. 바이든 대통령(이하 직함 생략)은 "그럴 것이다.(I will.)"라고 답했지만, 총기 규제 문제에 정치는 작동하지 않은지 오래다. 6-7세의 어린이 20명과 학교 직원 6명이 사망해 최악의 학교 총기 난사 사건으로 불리는 2012년 코네티컷 샌디훅 초등학교 참사 등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한 직후 여론이 들끓지만, 그때 뿐이다. 지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0년간 총 886건의 학교 총기 사고가 발생해 383명이..
美 축제 현장에서 또 총기 난사…1명 사망, 7명 부상 미국에서 또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해 1명이 숨지고 7명이 다쳤다. 미국 현충일인 '메모리얼 데이'(30일) 연휴를 맞아 오클라호마 동부 태프트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해 이같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고 이 보도했다. 오클라호마 주 털사에서 약 5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소도시 태프트 올드시티 광장에서는 '메모리얼 데이'를 맞아 축제가 열려 밤 늦은 시간까지 많은 인파가 몰렸는데, 29일 자정께 총격전이 벌어졌다고 한다. 범인은 26세 흑인 남성인 스카일러 버크너로 총격 사건 발생한 날 오후 4시께 경찰서를 찾아와 자수를 한 뒤 현재 교도소에 구금된 상태다. 오클라호마주 수사국은 성명을 내고 사망자는 39세 여성이며, 9세에서 56세에 이르는 7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이와는 별개로 29일 테네시주 채터누..
바이든, 총기난사 현장 방문 추모…트럼프, 총기박람회서 춤추며 연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텍사스주 유밸디 학교 총기 난사 현장을 방문했다. 바이든 대통령(이하 직함 생략)은 이날 학생 19명과 교사 2명이 사망한 유밸디 롭 초등학교 현장을 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함께 방문해 희생자를 추모했다고 이 보도했다. 바이든은 참사 현장에 도착해 학교 앞에 조성된 추모 공간에 꽃다발을 놓고 머리를 숙여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롭 초등학교 교장 등 교육 관계자 등을 만났다. 그는 희생자 및 생존자 가족들을 비공개로 면담하기도 했다. 천주교 신자인 바이든은 유밸디에 있는 성당에서 거행된 추모 미사에도 참석했다. 바이든은 성당에서 나오는데 한 시민이 "뭐라도 하라"고 소리치자 "그럴 것이다"라고 답했다. 바이든은 28일 델라웨어대학교 졸업식 연설에서도 롭 초등학교 총..
BTS, 백악관에서 바이든과 아시안 증오범죄 논의한다 방탄소년단(BTS)이 미국 백악관 초청으로 조 바이든 대통령을 만난다. 백악관은 26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바이든 대통령이 아시아·태평양계 미국인(AANHPI) 유산의 달을 맞아 31일 백악관에서 BTS를 만나 '반 아시안 증오범죄(Anti-Asian Hate Crimes) 등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글로벌 K팝 현상이자 그래미 후보에 올랐던 한국의 음악그룹 BTS가 아시아인의 포용과 대표성을 논의하고 최근 몇 년 동안 더욱 두드러진 이슈가 된 반아시안 증오범죄 및 차별을 다루기 위해 바이든 대통령과 함께한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급증하는 반아시안 증오범죄를 퇴치하기 위한 그의 약속을 얘기했었다"며 "작년 5월에는 법 집행기관에 증오범죄를 식별·조사·보고할 수 있는..
키신저 "우크라, 러에 영토 양보해야" vs. 소로스 "푸틴, 빨리 패배해야" 키신저·소로스, 우크라 전쟁에 대한 두 거물의 상반된 제언 논란 외교계의 살아있는 전설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부 장관과 헤지펀드계의 전설 조지 소로스가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입장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두 사람 모두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 연설을 통해 입장을 밝혔는데, 서로 다른 시각에 입각해 상반된 조언을 내놓았다. 1970년대 '핑퐁 외교'로 불리는 미중 냉전 화해의 설계자인 키신저 전 장관은 23일(현지시간) 다보스 포럼에서 전쟁을 빨리 끝내기 위해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영토의 일부를 넘겨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쉽게 극복할 수 없는 격변과 긴장이 조성되기 전, 앞으로 두달내 협상이 재개돼야 한다"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경계선은 개전 전 상태로 돌아..
푸틴, 서방 제재 비판하며 "러시아 몰아내지 못할 것"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세계 식량위기에 대해 서방이 경제제재를 먼저 풀면 우크라이나 흑해 봉쇄를 풀겠다는 제안을 내놓았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공급의 30%를 담당하고 있는데, 이번 전쟁으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항구를 봉쇄해 밀 수출을 막으면서 세계식량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러시아 외무부는 전날 서방의 경제제재를 풀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흑해 항구의 봉쇄를 풀 의향이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푸틴의 발언은 이런 입장을 명확히 한 것이다. 푸틴은 이날 구 소련국가들과 회동에서 거듭 서방의 경제제재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서방의 제재가 러시아의 공급 문제 등에 차질을 불러온 것은 사실이지만 "러시아의 고립을 추구하는 자들..